


적막한 어둠 속에서 마주하는 그들의 초상은 곧 죽음을 맞이할 것처럼 공허하고 창백하다. 하지만 그들의 시선만큼은 아주 명확하게 화면 밖을 응시하고 있다. 아마 전시장에 들어선 관객들 중 대다수는 공포심이나 공허함 또는 불안감을 느낄 것 이라고 예상한다. 김지훈은 네거티브적 소재에 대한 직설적인 표현을 통해 인간의 진정한 삶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접근하고 관찰한다.
현재에는 개인의 삶이라는 개념이 적용되는 기준이 매우 광범위해졌다.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단위인 가족이나 친구 또는 학연, 더 나아가 사회와 국가 또는 인류라는 모든 분류의 시작점인 한 명의 인간. 즉, 개인은 이미 관계들간의 합의하에 이루어진 상호작용을 따라가기에 급급한 삶을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개인성의 상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은 자신의 진정한 삶이 관계라는 피막에 의해 은폐되어있다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하고 각자 처한 현실에 맞게 억지로 적응하며 살아간다.
여기서 작가는 통제된 삶을 역행하고 날 것의 삶을 살아가는 존재인 광대에 주목한다. 광인 이라고도 불리며 인간의 희로애락을 은유 하는 존재로서의 광대는 언제나 자신의 인격을 분장 안에 숨겨왔다. 그들은 분장에 맞는 역할을 부여 받으면 반드시 그에 걸 맞는 연기를 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결국 그들의 삶은 머지않아 개인성의 상실을 유발한다. 군중이 되는 것이다. 군중이란 광대뿐만 아닌 불특정다수의 개인을 포함하는 집단화 과정의 산물이며 사회라는 이름을 통해 이중으로 은폐된 탈색집단이다. 결국 작가가 탈 사회적 존재라고 여겨왔던 광대들조차도 군중이라는 개념으로 집단화되고 탈색되어버리는 무언의 폭력이 잠재된 현실은 화면 속 존재로 의인화되어 우리의 삶을 은밀히 엄습한다.
한번 그려진 대상을 즉흥적으로 지워나가고 그 위에 다시 형상을 그리는 것을 반복하는 화법은 은폐된 삶과 탈색된 인격에 대한 성찰과 자기반성의 태도를 보조한다. 또한 극단적인 명암대비와 흑백으로 양분화 된 인물과 공간 사이의 간격을 통해 이미 군중에 귀속된 자들에게 느끼는 깊은 동질감과 그러한 삶으로부터 파생되는 공허함의 깊이를 측정한다. 이외에도 긁어내거나 흘리고 뿌리는 극단적인 표현방식은 이미 통제된 삶을 탈피하고자 하는 날 것의 삶에 대한 열망인지도 모르겠다고 고백한다. 결국 이것은 화면 안에서의 시각적 긴장감을 증폭시키는 역할임과 동시에 통제에 저항하는 개인을 드러내고자 하는 의지이다.
한 인간으로서 불순물이 없는 진실된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것은 당연한 것 이다. 작가는 그 당연한 것에 대한 기만으로부터 시작된 상실된 삶을 관철하고 자문할 수 있는 기회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이번 전시가 관객들이 느끼는 불편한 감정들은 각자의 삶의 어떠한 지점으로부터 왜 비롯되었는가에 대해 주목해보는 시간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In the desolate darkness, their portraits appear hollow and pale, as though they are on the verge of death. Yet their gazes are unmistakably fixed beyond the frame. Most visitors who encounter them in the exhibition space are likely to feel fear, emptiness, or unease. Through direct expressions of negative subjects, Jihoon Kim approaches and observes the question: what, in truth, constitutes human life?
Today, the notion of an individual life has expanded across a wide spectrum. From the closest circles—family, friends, academic ties—to broader layers of society, nation, or humanity itself, every classification begins with a single human being. Yet perhaps the individual already lives under the compulsion of interactions structured by mutual agreements, struggling merely to follow along. This is the loss of individuality. Most, however, remain unaware that their true lives are concealed beneath this veil of relationships, and instead force themselves to adapt to whatever reality they face.
Here, the artist turns to the figure of the clown—an existence that resists controlled life and embodies the rawness of being. Known also as the fool, the clown has always hidden their true self behind makeup, serving as a metaphor for human joys and sorrows. Once assigned a role befitting their painted face, they were compelled to perform it faithfully. Such a life inevitably leads to the erasure of individuality. They become part of the crowd. The crowd is not limited to clowns but emerges as the product of collectivization, including the anonymous multitude of individuals—bleached into sameness and doubly veiled under the name of society. The reality in which even clowns, once regarded as extra-social beings, are subsumed and desaturated by the concept of the crowd reveals a silent violence that takes human form on the canvas, stealthily encroaching upon our lives.
The method of repeatedly erasing and repainting figures once drawn is a gesture of reflection and self-interrogation toward concealed lives and bleached identities. The stark contrasts of light and shadow, and the intervals between figures and spaces rendered in black and white, measure both the depth of kinship felt with those already absorbed into the crowd and the profound emptiness generated by such a life. Extreme techniques—scraping, dripping, splattering—become confessions of a longing for raw existence beyond control. These gestures amplify the visual tension on the canvas while simultaneously expressing the will to reveal the individual resisting control.
To live truthfully, free of impurities, is a natural human desire. The artist points toward the path of questioning and confronting the lost life that begins with the betrayal of that very obvious truth. This exhibition is also intended as a moment for viewers to reflect upon the discomfort they experience and to ask: From what point in my own life does this feeling arise?